
1. 보증금액 비교
구분 | 보증금액 |
SGI (서울보증보험) | 아파트는 제한 없음 일반 주택은 10억원 이내 보증금 전액만 가능하며, 일부는 안 됨 |
HUG (주택도시보증공사) | 수도권 전세보증금 7억원 이하 기타 지역 5억원 이하 보증금 한도 내 신청한 금액 가능 |
HF (한국주택금융공사) | 수도권 전세보증금 5억원 이하 기타지역은 3억원 이하 |
SGI는 아파트는 제한이 없으며, 일반주택은 10억원 이내, 보증금 일부는 불가능하며 전액만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. HUG는 수도권은 전세보증금 7억원 이하, 기타 지역은 5억원 이하 가능하며 보증금 한도 내에서 금액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 HF는 수도권은 전세보증금 5억원 이하이며, 기타지역은 3억원 이하를 보증합니다.
2. 보증료율 비교
구분 | 보증료율 |
SGI (서울보증보험) | 아파트 전세보증금의 연 0.192% 기타주택은 연 0.218% |
HUG (주택도시보증공사) | 아파트 전세보증금의 연 0.128% 기타주택은 연 0.154% 2020년 9월 7일 개편 9천만원 이하 : 0.115~0.139% 9천만원~2억원 : 0.122~0.146% 2억원 초과 : 0.122~0.146% |
HF (한국주택금융공사) | 일반 0.07% 우대 0.05% |
SGI 서울보증보험은 아파트 전세보증금의 연 0.192%를, 기타주택은 연 0.218%를 보증료로 내야 합니다. HUG 주택도시보증공사는 2020년 9월 7일 이후로 9천만원 이하 주택은 0.115~0.139%를, 9천만원에서 2억원 사이는 0.122~0.146%를, 2억원 초과는 0.122~0.146%를 내야 합니다.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주택별이 아니라 신청자별로 다르게 책정하는데요. 우대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. 보증료율을 보면 HF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보증료율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<한국주택금융공사 보증료율 우대사항>
다자녀가구, 신혼부부, 저소득자, 다문화가구, 장애인가구, 국가유공자가구, 의사상자가구, 한부모가구, 조손가구, 고령자
*저소득자 : 피보증인(소득을 합산하여 보증한도를 산정한 경우의 배우자 포함)의 연소득이 25백만원 이하인 자
3. 보증료 할인
SGI와 HUG는 LTV 구간 별로 보증료 할인을 제공하니 참고하세요~
구분 | SGI 서울보증보험 |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| ||
할인 구분 | 상세 조건 | 할인율 | 상세 조건 | 할인율 |
LTV | 60% 이하 | 20% | 80~70% | 10% |
50% 이하 | 30% | 70~60% | 20% | |
60% 이하 | 30% |